안녕하세요 유피티입니다. 오늘은 어깨를 넓어 보이게 하는 근육인 어깨세모근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헬스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나 몸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천천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글을 작성합니다. 하지만 오해나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깨삼각근이란?
어깨삼각근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뉩니다. 어깨삼각근은 보통 전면어깨, 측면어깨, 후면어깨라고 많이 불립니다.
전면삼각근은 빗장뼈인 쇄골의 가쪽 1/3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어깨 세모근 거 친면까지 닿고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이해하기 편하실 겁니다. 근육이 어깨 거 친면에서 빗장뼈로 수축한다면 뼈는 어떻게 움직일까요? 뼈는 앞으로 움직일 것입니다. 즉, 팔의 굽힘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전면삼각근의 주기능입니다. 그러고 이와 같은 움직임을 할 때 자연스럽게 팔을 안쪽돌림이 될 것입니다.
그러고 반대로 빗장뼈가 거 친면 쪽으로 수축할 수 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쇄골이 내려가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닫힌 사슬일 때 움직임입니다.
전면삼각근은 어깨뼈 봉우리에서 어깨세모근 거 친면까지 닿고 있습니다. 이 또한 그림을 보시면서 글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근육이 거 친면에서 봉우리 쪽으로 수축한다면 뼈의 움직임이 어떻게 움직일까요? 뼈는 벌림을 할 것입니다. 즉, 팔이 벌려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측면삼각근의 주요 기능입니다.
후면삼각근은 어깨뼈가시에서 시작하여 어깨세모근 거 친면에 닿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아시겠지만 삼각근의 닿는 곳은 공통적으로 어깨세모근 거 친면입니다. 영어로는 Deltoid tuberosity라고 부릅니다. 이 또한 그림을 보시면서 글을 읽기를 추천드립니다. 근육이 어깨세모근 거 친면에서 어깨뼈가시로 수축한다면 뼈의 움직임이 어떻게 될까요? 뼈는 뒤로 갈 것이며 자연스럽게 외회전 될 것입니다. 즉, 팔이 몸 뒤로 가게 될 것이고 자연스럽게 외회전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후면삼각근의 기능입니다. 근육의 위치만 알고 있다면 근육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근육의 위치는 어쩔 수 없이 외워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앞(anterior) | 중간(middle) | 뒤(posterior) | |
이는곳(Origin) | 빗장뼈(clavicle) 가쪽 1/3 | 어깨뼈 봉우리(acromion) | 어깨뼈가시(scapular spine) |
닿는곳 (Insertion) | 어깨세모근 거친면(Deltoid tuberosity) | ||
작용(Action) | 굽힘,안쪽돌림 | 벌림 | 폄,가쪽돌림 |
어깨 운동 어떻게 할 건데?
그러면 어깨운동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근육의 위치와 기능을 알았으니 이제 근육을 논리적으로 강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으로 잘 보이실진 모르겠지만 어깨뼈는 이마면에 정확하게 있지 않습니다. 이마면에 대해서 30도 앞으로 나와있습니다. 왜냐하면 가슴 우리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빗장뼈와 만나서 관절을 이루기 위해서는 앞쪽으로 30도 나와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뒤쪽으로 향하고 있는 빗장뼈는 앞쪽으로 향하고 있는 어깨뼈와 잘 맞게 관절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면을 scaption이라고 합니다.
이제 전면삼각근 운동을 어떻게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전면삼각근 운동은 시상면에 따라서 운동을 하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어깨뼈는 30도 앞으로 나와있기 때문입니다. 덤벨을 들고 앞으로 올릴 때 몸과 올바르게 올리지 마시고 코를 향해서 올리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전면삼각근은 더욱더 효과적으로 수축할 것입니다. 측면삼각근은 어떻게 운동해야 할까요? 스캡션면을 따라서 올려주시면 됩니다. 팔을 몸과 평행하게 올리지 마시고 팔이 30도 앞에서 사이드레터럴레이즈를 해주시면 되는 것입니다. 후면삼각근은 전면삼각근의 반대방향으로 팔을 보내주시면 됩니다. 팔을 바깥으로 보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근육의 위치와 기능을 알면 운동방향성도 쉽게 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상지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아래근(극하근,infraspinatus) (0) | 2023.02.13 |
---|---|
마름근(능형근, Rhomboids) (0) | 2023.02.12 |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0) | 2023.02.11 |
광배근(Latissimus dorsi) (0) | 2023.02.10 |
어깨통증의 원인: 승모근(Trapezius)의 해부학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