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피티입니다. 오늘은 어깨올림근인 견갑거근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견갑거근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깨올림근의 과도한 수축은 위팔오목관절의 불안정성이나 팔신경 얼기의 증상을 보이곤 합니다. 그러고 작은 가슴근, 마름근과 함께 어깨뼈 아래쪽 돌림(downward rotation)에 작용합니다. 이제 어깨올림근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깨올림근?
어깨올림근은 경추 1번에서 4번의 가로돌기에서 시작해서 어깨뼈의 위쪽각에 닿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작용할까요? 어깨뼈 위쪽각이 경추 쪽으로 수축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렇다면 어깨뼈는 올라갈 것입니다. 그러고 올라가면서 아래쪽 돌림도 같이 일어날 것입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상부승모근과 같이 작용한다면 어깨뼈는 올라갈 것이고 마름근과 소흉근과 같이 작용한다면 어깨뼈의 아래쪽 돌림을 만들 것입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 |
이는곳(origin) | C1~C4 목뼈의 가로돌기 |
닿는곳(insertion) | 어깨뼈의 위각 |
작용(action) | 어깨뼈 올림, 아래쪽 돌림 |
신경지배(nerve) |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erve) |
어깨올림근이 중요한 이유
잠을 자고 일어나거나 목이 잘 돌아가지 않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또는 목을 뒤로 젖히는 게 아프신가요? 아니면 팔을 올릴 때 목에 통증이 있으신가요? 등 어깨올림근이 짧아지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만듭니다. 왜 이러한 문제를 만드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에 그림을 보시면 이해하기가 수월하실 것입니다. 어깨뼈가 고정되었다면 근육의 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목이 뒤로 젖혀지거 한쪽으로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목이 잘 돌아가지 않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증상이 있으면 어깨올림근을 마사지하거나 스트레칭을 꼭 해주어야 합니다.
'상지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아래근(극하근,infraspinatus) (0) | 2023.02.13 |
---|---|
마름근(능형근, Rhomboids) (0) | 2023.02.12 |
광배근(Latissimus dorsi) (0) | 2023.02.10 |
어깨근육: 어깨삼각근(세모근,Deltoid) (0) | 2023.02.09 |
어깨통증의 원인: 승모근(Trapezius)의 해부학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