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유피티입니다. 오늘은 어깨의 핵심 근육인 극상근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극상근이 왜 어깨근육의 핵심이지?라고 생각하지는 분들은 아래의 글을 읽어보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극상근?
극상근(supraspinatus) | |
이는곳(origin) | 어깨뼈의 가시위오목(supraspinatus fossa) |
닿는곳(insertion) | 위팔뼈의 큰결절의 위쪽면(greater tubercle superior) |
작용(action) | 벌림(abduction) |
신경지배(nerve) | 어깨위신경(supraspinatus nerve) |
중요한 이유
1. 측면어깨와 극상근은 위팔뼈를 벌림 시킬 때 단면적과 moment arm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위팔뼈를 벌림 시키는 힘의 비율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측면어깨가 마비가 되어도 완전히 어깨 벌림은 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극상근의 힘줄이 파열된다면 완전한 벌림은 불가능합니다.
2. 극상근은 GHjoint가 벌림 시 위팔뼈의 머리를 아래로 slide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위팔뼈머리를 아래로 내려주지 않는다면 견봉하공간에서 찝힘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shoulder impingement입니다.
반응형
'상지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 저림의 원인: 목갈비근(사각근, scalenes) (1) | 2023.02.19 |
---|---|
거북목의 원인: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0) | 2023.02.18 |
라운드숄더: 대흉근(큰가슴근, pectoralis major) (0) | 2023.02.15 |
팔이 저린이유: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 (0) | 2023.02.14 |
가시아래근(극하근,infraspinatus) (0)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