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피티입니다. 오늘은 어깨복합체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어깨복합체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와 왜 어깨복합체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평소에 어깨운동이나 헬스, 또는 어깨 통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이 글을 읽어보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
어깨를 이루는 뼈들은 빗장뼈, 복장뼈, 위팔 펴, 날개뼈 4가지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1. 복장뼈와 빗장뼈 사이의 관절인 복장빗장관절 (Sternoclavicular joint, SC joint)
2. 빗장뼈와 날개뼈 사이의 봉우리 빗장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AC joint)
3. 위팔뼈와 날개뼈의 오목한 부분 사이의 오목위팔관절 (Glenohumeral joint, GH joint)
4. 날개뼈와 갈비뼈 사이의 어깨가슴관절 (Scapulothoracic joint, ST joint)
이렇게 4가지 관절로 어깨복합체를 이루고 있습니다. 4번인 어깨가슴관절에서 의구심이 생기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다른 관절들과 다르게 어깨가슴관절은 뼈와 뼈사이의 윤활관절을 이루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관절은 가짜관절이라고도 부릅니다.
그러고 ST joint의 움직임은 AC joint와 SCjoint의 움직임의 합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다음번에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중요한 이유
어깨복합체가 중요한 이유는 팔이 움직이는 데 어깨복합체가 전체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팔을 올리는 동작을 수행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팔을 올릴 때 ST관절에서 상방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GH 관절에서 팔을 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어깨를 올릴 때 위팔뼈만 올라간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깨복합체는 한 가지 동작을 수행할 때 다 같이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라운드숄더나 등이 굽은 사람은 어깨복합체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을까요? 생각해 봅시다.
라운드 숄더가 된다면 AC joint는 내회전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GH joint는 외회전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SC joint는 내밈 자세가 되겠죠. ST joint 하방회전을 이루고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자세가 왜 문제가 되는 것이냐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 실겁니다. 내밈 자세가 된다면 상부승모근이 과활성 되어 어깨가 자주 뭉치게 됩니다. 이는 두통까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어깨뼈의 하방회전과 내회전은 팔을 올릴 때 팔이 정상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자세적 결함은 어깨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입니다.
'근육 사용설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nesiology(움직임에 대한 학문) (0) | 2023.02.23 |
---|---|
ST joint(Scapulothoracic joint) (0) | 2023.02.22 |
목의 다양한 질병들(거북목, 목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0) | 2023.02.07 |
운동 치료의 필요성(마사지, 스트레칭 하는 이유) (0) | 2023.02.06 |
우리의 몸이 아픈 이유와 해결방안,통증치료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