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쩍않는 미 근원 CPI...연준, 한 차례 금리 인상 불가피할 듯
무슨일이야?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완화됐지만 인플레이션 진정까지는 갈 길이 멀었다는 점이 확인됐다,
왜 이런일이 일어났는데?
1) 유가 하락 > 전체 CPI 하락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코어 CPI 상승
따라서 Fed는 기준 금리 인상의 예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2) 3월 물가 하락이 대부분 에너지 가격 하락의 결과
> 에너지 3.5% 떨어져 두 달 연속 가격이 떨어짐
(에너지 부문은 전체 CPI에서 7%를 차지해, 가장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분야이다)
그래서?
1)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코어 CPI는 전년대비 5.6% 오름
> 코어 CPI 상승률이 전체 CPI 상승률보다 크다.(2021년 1월 이후 2년 만에 처음)
2) 전체 물가의 1/3을 차지하는 주거비는 언제 하락할 것인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질로우 등 민간지표 상 임대료 하락이 시작됐지만 CPI 지표에는 아직 반영X (보통 6~18개월 걸림)
> Fed는 연내 주거비 CPI가 떨어질 것으로 전망 그러나 사실이 아닐 수도 있기에 금리 인상을 중단하기는 어려움
> 월가에서 5월 0.25% 금리 인상을 위와같은 이유로 추측
> 전문가는 " 올 여름 주거 부문에서 강력한 인플레이션 둔화 예상" "고용시장 지속적인 강세,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의 감산, 고용시장 영향받는 서비스 산업의 압력을 고려 할 때 금리 0.25%인상 예상"
질문
이러한 것들이 코인과 어떻게 연결이 되는 것일까? 궁금하다.
이러한 사실들을 알고나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참 고민이 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78420?sid=104
꿈쩍않는 美 근원CPI…연준, 한 차례 금리 인상 불가피할 듯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완화됐지만 동시에 인플레이션과 진정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점이 확인됐다. 유가 하락 덕에 전체(헤드라인) CPI는 뚝 떨어졌지만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코어CPI
n.news.naver.com
'경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 GPT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비메모리 / 메모리 반도체) (1) | 2023.04.18 |
---|---|
아직도 배터리 관련 주식 못 샀어? 그러면 이 종목 어때? (0) | 2023.04.17 |
역시나 이번에도 미국의 금리 인상... (0) | 2023.04.14 |
한은 금리 동결... 지금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0) | 2023.04.12 |
(2023.04.11 경제기사) 미국의 부동산 하락 어떻게 된 일이야? / 배터리 3사(LG솔루션, 삼성SDI, SK온) 미국 시장 침투 시작 (0) | 2023.04.11 |
댓글